최근들어 젊은 여성들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 자궁내막증은 생리혈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복강으로 들어가 생기는 것으로 최악의 경우 불임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자궁내막증 치료에는 수술적 방법이 있는데요. 생식기능의 보존이 원칙이기 때문에 골반경 수술로 일차적인 시술이 됩니다. 하지만 자궁내막증이 악화되었거나 임신이 사실상 힘들거나 원하지 않을때에는 개복수술을 하게 됩니다. 눈에 보이는 모든 병적 부위의 제거아 조직들의 유착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수술 후에는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통증이 완화됩니다.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불임이었던 환자들은 복강경 수술후 30~50%가량이 임신에 성공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약말요법으로 호르몬 치료와 비호르몬 치료가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는 자궁내막증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에스트로겐의 합성을 억제하고 출혈을 방지하게 합니다. 사용되는 호르몬제는 프로게스테롤체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 작용제, 게스트리논 등이 있습니다.
비호르몬 치료제는 통증의 완화를 위한 보조적 치료제로 항염증제, 사이토가인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댓글